관리 메뉴

세종검정고시학원 김포검단점

[인천검정고시/춘천야학/부평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현대시 총정리 -진달래꽃- / -유리창- 본문

대검 자료실(고등)

[인천검정고시/춘천야학/부평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현대시 총정리 -진달래꽃- / -유리창-

새벽연필 2012. 7. 31. 18:59

시험이 4일 앞으로 다가왔네요. 복습의 의미로

오늘은 '진달래꽃'과 '유리창'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볼까요?

 

 

 

[인천검정고시/춘천야학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

1. 구문이해

• 시의 짜임- 1연 : 체념을 통한 이별의 정한(기-이별)

             2연 : 떠나는 임에 대한 축도(승- 사랑)

             3연 : 원망을 초월한 사랑(전-희생)

             4연 : 인고와 극기(결-극복)

• 구절풀이

① : 이별의 상황에서 가지 말라고 애원

② : 특정지명 사용: 향토성

③ : 진달래꽃- 서정적 자아의 분신, 사랑과 한의 표상

             - 시적 화자의 분신

④ : 겉에 드러난 의미는 떠나보냄이지만 속뜻은 되돌아오기를 기다리는 강한 의지이다.

: 반어법(속마음과 반대로 표현하는 방법), 에이불비(불교적 성격의 시)

2. 핵심정리

• 갈래 : 자유시, 민요조의 서정시

• 성격 : 민요적, 전통적, 유교적

• 어조 : 이별의 슬픔을 인고하는 여성적 목소리

• 운율 : 7⦁5 조의 민요조 /3음보

• 주제 : 이별의 정한과 그 승화(이별의 한)

• 표현 : 전통적 정서와 율격, 향토적 제재로 민요풍 시

 : 호소하는 듯 애조를 띤 여성적인 간절한 목소리

 : 도치, 반복, 반어법 등이 쓰였다.

 : ‘-우리다’라는 의지 강조의 종결 어미를 반복

 : 1연과 마지막 연(4연)의 모습이 같은 수미상관구조

 

 

 

 

   

 

[인천검정고시/춘천야학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

 

1. 구문이해

1~3행 - 유리창에 어린 아이의 영상

  : 시적 화자는 창가에 서있다. 창가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. 입김 때문이겠으나, 차고 슬픈 것이라고 하는 것을 보아 시적 화자는 슬프다. 창에 어리는 입김에서 언 날개를 파닥거리는 새를 연상하는데, 이는 죽인 자식에 대한 그리움

4~6행 - 죽은 아이에 대한 그리움

: ‘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’ 행위를 거듭함은 죽은 자식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. 여기서 ‘별’은 죽은 자식과 동일한 대상. ‘물 먹은’이란 아버지의 눈에 맺힌 한 방울의 눈물을 표현한 것이다.

7~8행 - 유리를 닦으며 느끼는 모순된 감정(역설법)

9~10행 -아이의 죽음을 인식한 데서 오는 탄식(영탄법)

 

• 구절풀이

① 유리창 : 이승과 저승의 운명적 단절

:죽은 아이와 시적 화자 사이를 가로막은 운명적 단절, 차단의 기능 / 이승과 저승을 이어주는 매개체

② : 유리창에 서린 입김 자국으로, 죽은 아이의 비유적 표현

③ 창에 어리는 입김에서 언 날개를 파닥거리는 새를 연상함. = 죽은 아이의 비유적 형상

 ④ : 역설법 - 자식에 대한 그리움과 자식의 모습을 다시 보는 듯한 황홀감을 표현

※ 죽은 아이를 뜻하는 시어

: 차고 슬픈 것, 언 날개를 파다거린다, 별, 산새

2. 핵심정리

 • 갈래 : 자유시, 서정시

 • 성격 : 애상적, 감각적, 회화적

 • 어조 :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애상적 어조

 • 표현 : 선명한 이미지와 감각적 언어 사용

        : 모순 형용의 기법사용 - 역설법

 • 주제 : 죽은 아이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