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고졸검정고시
- 주안검정고시학원
- 춘천검정고시학원
- 부평검정고시
- 교육·학문
- 춘천검정고시
- 원주검정고시학원
- 주안한글
- 세종검정고시학원
- 검정고시
- 구월동한글
- 세종학원
- 중졸검정고시
- 인천한글
- 김포검정고시학원
- 한글기초
- 검정고시학원
- 세종검정고시학원/인천검정고시학원/춘천세종검정고시학원/후평동검정고시학원/운교동검정고시학원/교동검정고시학원/홍천검정고시학원/가평검정고시학원/화천검정고시학원/강촌검정고시
- 인천검정고시학원
- 주안검정고시
- 춘천야학
- 부평주부영어교실
- 왕기초영어반
- 한글배우기
- 인천검정고시
- 주부영어교실
- 영어왕기초반
- 원주검정고시
- 부평검정고시학원
- [세종검정고시학원/춘천세종검정고시학원/소양검정고시학원/효자검정고시학원/운교검정고시학원/홍천검정고시학원/가평검정고시학원/화천검정고시학원]
- Today
- Total
목록대검 자료실(고등) (132)
세종검정고시학원 김포검단점
관동별곡 두번째 서사입니다!! 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①소양강에 흐르는 물은 어디로 흘러가는가? - 연군지정 (소양강은 흘러흘러 임금이 계신 한양으로 흐르는구나) ②임금과 이별하고 한양을 떠난 외로운 신하는 나라 걱정에 흰 머리만 늘어가는구나, -우국지정 ③철원에서 밤을 겨우 지새고 북관정에 오르니, ④임금이 계신 한양의 삼각산 제일 높은 봉우리가 보일 것만 같구나.-연군지정 ⑤태봉국 궁예왕의 대궐터에서 지저귀는 무심한 까막까치는 ⑥나라의 흥망을 알고 우는가, 모르고 우는가? - 인생무상, 맥수진탄 ⑦이곳의 지명이 옛날 중국 한 나라의 회양 땅과 마침 같으니, ⑧회양 태수로 선정을 베풀었던 급장유의 풍채를 이 곳에서 다시 볼 것인가?-선..
오늘부터 관동별곡 정리에 들어갑니다~!! 이 노래는 송강 정철의 대표작으로 조선 전기 가사 문학의 백미로 평가 받고 있다. 송강이 45세 되던 해 정월에 강원도 관찰사로 제수되어 원주에 부임한 후, 3월에 이르러 내.외.해금강과 관동 팔경을 두루 유람하고 그 절경을 노래한 가사이다. 특히, 연군의 정, 선치애민의 정신, 몽중 선연을 노래하여 당시 지식인의 계층의 인생관을 잘 반영하고 있다. [관동별곡] - 정철 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[현대어 해석] ①자연을 사랑하는 것이 병이 되어 창평에 은거하여 한가로이 지냈더니, ②강원도 800리에 관찰사의 직분을 맡기시니, ③아, 임금의 은혜야말로 더욱더 끝이 없구나. ④연추문으로 달려 들어가 경..
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-갈래: 자유시 -주제: 한스러운 삶을 살다간 어머니에 대한 회상 ♣ 특징 ♣ 1. 토속적인 시어의 사용 (울엄매- 경상도 사투리), 특정 지명 사용(향토적) 2. 섬세한 언어와 서정적 감각이 두드러짐 3.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슬픔의 정서 표현 4. 영탄형, 의문형을 사용하여 정서 표출을 절제함 5. 과거 회상적, 향토적, 애상적 ★시어의 의미★ 별밭, 진주 남강 : 희망, 꿈, 이상 골방 : 가난, 현실 은전 : 가질 수 없는 부 ★ 객관적 상관물 - 정서를 대신 구체적 사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 ‘옹기전의 옹기들’ 어머니의 슬픔, 눈물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
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거정고시] 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거정고시] - 갈래: 자유시 (반성적, 독백적) - 주제: 자연에서 느끼는 신의 섭리와 긍정적 삶의 태도 - 특징 1. 서술적 문체로 시적 의미 충분히 전달 2. 청유형으로 설득력 높임 (-자) 3. 시각적 이미지 (눈에 보이지 않는 바람을 눈에 보이는 머리채, 빨래라고 표현) 4. 백설과 눈물의 원관념-순수
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- 갈래 : 자유시, 상징시, 참여시, 저항시 - 성격 : 의지적, 저항적, 현실 참여적, 미래지향적 - 구성 : 추보식 구성 (과거-현재-미래) - 특징 : 상징적 기법을 통해 주제 의식을 드러냄. : 속죄양 모티프(4연 3행)를 사용하여 선구자적 이미지 부각 = 자기희생의 의지 : 강인하고 남성적이 어조를 사용하여 굳은 의지를 드러냄. (들렸으랴, 못하였으리라, 뿌려라, 하리라) ★시어의 상징★ -광야 : 우리나라, 조국, 국토 -강물 : 문명, 역사 -눈 : 시련, 고난, 일제강점기 -매화향기 : 지조, 절개, 독립 의..
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- 갈래 : 자유시, 서정시 - 성격 : 애상적, 감각적, 회화적 - 어조 :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애상적 어조 - 표현 : 선명한 이미지와 감각적 언어 사용 : 모순 형용의 기법사용 - 역설법 : 감정의 절제로 시적 화자가 전달하고자하는 바를 객관화시킴. - 제재 : 유리창에 어린 입김 - 주제 : 죽은 아이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★ 죽은 아이를 뜻하는 시어 - 차고 슬픈 것, 언 날개, 물 먹은 별, 산ㅅ새 ★ 역설법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⇒아들에 대한 그리움 + 다시 볼 수 있을 것 같은 황홀함 ★ 유리창의 이중적 ..
오늘 도덕 마지막 시간이예요. 같이 볼까요? [세종검정고시학원/부평검정고시학원/인천검정고시학원/주안검정고시학원] 오늘 수고하셨구요~ 기출문제 열심히 풀어서 시험때 좋은 성적으로 합격하세요^^
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[인천검정고시/부평검정고시/주안검정고시/김포검정고시/원주검정고시/춘천검정고시/세종검정고시] - 성격 : 민요적, 전통적, 유교적 - 어조 : 이별의 슬픔을 인고하는 여성적 목소리 - 운율 : 7⦁5 조의 민요조(3음보) - 주제 : 이별의 정한과 그 승화 - 표현상의 특징 ① 전통적 정서와 율격, 향토적 제재로(특정 지명 사용) 민요풍 시의 전형을 이룬다. ② 호소하는 듯 애조를 띤 여성적인 간절한 목소리로 노래하고 있다. ③ 도치, 반복, 반어, 등이 쓰였다. ④ ‘-우리다’라는(각운) 의지 강조의 종결 어미를 반복하였다. ★ 진달래꽃 -시적화자의 분신 , 나의 사랑, 한의 표상 ★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...